주로, 강한 폭우는 태풍(열대성 저기압)의 영향으로만 발생하는 것으로 많은 사람들이 생각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기후 변화가 가속됨에 따라 대기의 강 현상이 더욱 활발해져서 지구촌 곳곳에서 태풍과 관계없는 폭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많은 자연재해의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본 기사에서는 대기의 강 현상이 무엇이고 왜 그 현상이 강력해지고 있는지 살펴볼 것입니다.
"대기의 강(Atmospheric River, AR)"이란 무엇인가?
대기의 강은 열대 지방에서 고위도 지역으로 많은 양의 수증기를 운반하는 길고 좁은 통로입니다. 이러한 회랑은 모양과 동작 때문에 종종 "하늘의 강(rivers in the sky)"으로 묘사됩니다. 대기의 강이 상륙하면 상당한 양의 강수(폭우)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익한 영향과 유해한 영향이 모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기의 강'과 폭우, 가뭄과의 관계
'대기의 강'은 미국 서부 해안을 포함하여 많은 지역에서 중요한 강수원입니다. 이 지역은 대기의 강과 지역 지형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폭우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미국 서해안의 산맥은 장벽 역할을 하여 습기가 많은 공기를 상승시키고 냉각시켜 수증기가 응축되어 강수를 형성하게 합니다. 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극심한 강우 사태와 홍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대한민국)의 경우에는 대기의 강과 북쪽에서 내려오는 차가운 기류가 한반도 상공에서 만날 때 강력한 폭우를 내려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쪼 한 가지 놀라운 사실은 강력한 폭우가 발생하게 되면 그 지역은 홍수가 나지만, 그 폭우지역을 벗어난 지역은 매우 건조하고 뜨겁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폭우지역에서는 저기압이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상승기류가 만들어집니다. 상승한 양만큼을 보충해야 하기 때문에, 그 주변 지역에서는 강한 하강기류가 형성됩니다. 즉, 강한 고기압이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건조하고 뜨거운 사막화를 초래하게 됩니다.
지구 온난화와 대기의 강에 미치는 영향
지구 온난화가 '대기의 강'의 행동을 변화시켜 더 강렬하고 빈번하게 만든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대기의 온도가 1% 상승하면, 수증기의 양은 7%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해서,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온실가스의 지속적으로 배출하게 되면, 온실효과가 증대되고 그로 인하여 대기의 온도가 상승하면 대기의 수증기의 함량이 증가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즉, '대기의 강'의 규모가 훨씬 더 커지게 됩니다. 즉, 더 강력한 폭우가 내릴 수 있다는 것이며, 이로 인하며 많은 인명적, 재산적 피해를 겪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대기의 강의 빈도와 강도는 최근 수십 년 동안 증가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기의 강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예 (대표사진 설명)
위쪽 좌측의 사진은 2009년 11월의 사진으로, 대서양에서 아일랜드까지 대기의 강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위쪽 우측의 사진은 최근(2023년 1월 27일) 뉴질랜드 오클랜드 지역의 강력한 폭우가 인도네시아 해역으로부터 형성된 대기의 강의 영향임을 잘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좌하의 이미지는 2020년 2월 11일의 위성사진으로 하와이 부근부터 캘리포니아 서부에 이르는 대기의 강이 형성되어 폭우(밝은 녹색 부분)를 쏟아 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우측 아래의 이미지는 2020년 8월 15일 대기의 강이 우리나라에 강한 폭우를 내리게 하고 있습니다.
결론
대기의 강은 유익한 영향과 유해한 영향을 모두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자연 현상입니다. 대기의 강과 폭우 사이의 관계는 복잡하지만 이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극심한 강수 현상과 관련된 위험을 관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지구 온난화가 대기의 강에 미치는 영향은 우려스럽기 때문에 기후 변화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긴급 조치가 필요합니다. 즉, 우리의 관심과 적극적인 실천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환경과 기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실가스란 무엇인가? 6대 온실가스에 대해 알아봅니다. (0) | 2023.03.04 |
---|---|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 노력은 무엇이 있나요? (0) | 2023.03.04 |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과 대처 방법 (0) | 2023.02.26 |
플라스틱의 사용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0) | 2023.02.25 |
리필스테이션(Refeel Station) 소개: 일회용 플라스틱 병의 사용을 줄이기 위한 지속 가능한 해결책 (0) | 2023.02.24 |